2018년 3월 14일 수요일

라즈베리파이(라즈비안) 부팅 시, 프로그램 자동실행 등록


라즈베리파이(라즈비안) 부팅 시,
프로그램 자동실행 등록하기

오늘은 많은 분들이 원격접속(ssh,tightvncserver,xming ETC…)을 이용하여 파이를 이용하실 텐데요. 
매번 vncserver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고, 부팅과 함께 자동으로 vncserver 가 실행될 수 있도록 라즈베리파이에 자동실행등록 법을 정리 해 봤습니다. 

 0. 라즈비안(리눅스) 프로그램 자동등록 실행 이란 ?

라즈비안(리눅스)에는 부팅 시, 자동등록 설정을 해주는 설정파일 등록방법과 명령어를 이용해 등록을 하는 두 가지가 존재하고 있다. 
a. /etc/rc.local 환경설정 수정
위 파일 내에 실행 명령어를 추가하여 부팅 시에 실행이 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
b. update-rc.d 명령어
별도의 등록 스크립트를 코딩하여, 부팅 시에 등록된 프로그램이 실행 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

1. /etc/rc.local 환경설정 수정 등록하기

  그럼 예시로 라즈비안 Remote 프로그램 중 하나인 tightvncserver 를 /etc/rc.local 파일 내에 등록하여, 자동실행이 되도록 해 보자.
pi@rasplay ~ $ sudo  nano /etc/rc.local
  편집기(nano,vi,vim ETC… )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rc.local’ 환경설정 파일을 열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보일 것이다 이 중 추가해 주어야 하는 라인은 ‘fi’ 와 ‘exit 0’ 사이에 본인이 실행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실행 명령어를 입력 후, 저장을 하고 재 부팅을 시동하여 테스트를 해 보자.
#!/bin/sh -e
#
# rc.local
#
# This script is executed at the end of each multiuser runlevel.
# Make sure that the script will “exit 0” on success or any other
# value on error.
#
# In order to enable or disable this script just change the execution
# bits.
#
# By default this script does nothing.
# Print the IP address
_IP=$(hostname -I) || true
if [ “$_IP” ]; then
printf “My IP address is %sn” “$_IP”
fi
# ADD line :
su pi -c ‘tightvncserver :1’ &
exit 0

pi@rasplay ~ $ sudo  reboot

이제 모든 자동등록 절차가 마무리 되었으니, 라즈베리파이를 재 부팅해 정상 작동이 되었는지 확인을 해 보도록 하자.

2. update-rc.d 명령어로 등록하기


2-1. /etc/init.d/tightvnc script 작성

 
두번째로 update-rc.c 명령어를 이용해 스크립트를 코드하여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pi@rasplay ~ $ sudo nano /etc/init.d/tightvnc
#!/bin/sh
### BEGIN INIT INFO
# Provides:          tightvncserver
# Required-Start:    $local_fs
# Required-Stop:     $local_fs
# Default-Start:     2 3 4 5
# Default-Stop:      0 1 6
# Short-Description: Start/stop tightvncserver
### END INIT INFO
 
# More details see: 
# http://www.penguintutor.com/linux/tightvnc
 
### Customize this entry
# Set the USER variable to the name of the user to start tightvncserver under
export USER=’pi’
### End customization required
 
eval cd ~$USER
 
case “$1” in
  start)
    su $USER -c ‘/usr/bin/tightvncserver :1’
    echo “Starting TightVNC server for $USER “
    ;;
  stop)
    pkill Xtightvnc
    echo “Tightvncserver stopped”
    ;;
  *)
    echo “Usage: /etc/init.d/tightvncserver {start|stop}”
    exit 1
    ;;
esac
exit 0
 위 스크립트 코드를 /etc/init.d/tightvnc 파일 내에 작성 및 저장 후 빠져나 오도록 하자
 

2-2. /etc/init.d/tightvnc script 실행등록

 자 그럼 마지막으로 작성된 스크립드를 update-rc.d 명령어를 이용하여 부팅 시 자동실행이 되도록 등록 후 재부팅을 하여 정상적으로 등록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 해 보도록 하자

pi@rasplay ~ $ sudo chown pi:pi /etc/init.d/tightvncserver
pi@rasplay ~ $ sudo chmod 755 /etc/init.d/tightvnc
pi@rasplay ~ $ sudo update-rc.d /etc/init.d/tightvnc defaults
pi@rasplay ~ $ sudo reboot
#Tip. update-rc.d 서비스 수동실행 명령어
$ sudo /etc/init.d/tightvnc start
$ sudo /etc/init.d/tightvnc stop

 
[참고사이트]

2018년 3월 12일 월요일

오피스 인증툴

오피스 정품인증 프로그램

자료는 네이버블로그 본인 글에 게시되어 있어 무료 다운가능

사용법 : 오피스 인증 검색 ㄱㄱ

7z으로 되어 있으니 반디집같은 압축프로그램으로 압축풀어 설치

오피스 2016에서 win10까지 지원

수정사항 : 오피스 인증 검색을 못하시는 분들이 많아 사용방법 수정

인증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KMS(MS인증툴)활성화를 통한 방법입니다. 먼저 오피스 인증 툴킷을 실행합니다.
ms office 정품인증
MS office 툴킷 처음 화면의 오른쪽 하단에 보면 MS office 로고가 있습니다.
그것을 클릭하세요!
ms office 정품인증
MS office 로고아이콘을 클릭하면 메인창이 뜨면서 오른쪽 중간에
본인의 MS office 프로그램 정보가 뜹니다. 확인하시고 상단 탭중에서
Activation 으로 이동하세요!
ms office 정품인증
이동하면 위와같은 설정이 선택되어 있는데 수정없이 바로 액티브버튼 
눌러주시면 됩니다.
ms office 정품인증
MS office 인증 툴킷이 활성화되면서 아래 상태창에 진행상태가 나옵니다.
시간이 조금 걸리더군요. 처음 MS office 2016 정품인증을 받기위해
자료를 찾았을 때 해당 탭 매뉴중 키관련 매뉴에서 활성화를 하라고 했는데
안되기에 혹시나하고 활성화탭에서 해보았더니 되었습니다.

MS office 2016 인증외에도 다른 버전도 인증이 됩니다.
그리고 위의 방법으로 안되는 경우 키관련 탭에서 진행을 해보세요.
MS office 인증 시 둘중에 하나는 되는것 같습니다.
ms office 정품인증
MS office 인증이 완료되면 위와 같이 성공했다는 문구가 마지막에 나옵니다.
확인되셧으면 종료 후 프로그램을 실행해 보시면 인증관련 창이나 문구가
나오지 않을 겁니다~